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3 결혼식 축의금 기준 알아보기

by 콩블리love 2023. 9. 10.
반응형

 소비자 물가가 치솟는 2023년, 지인, 친구, 가족 결혼식 축의금은 얼마나 해야 할까요? 사실 예전 기준으로는 보통 축의금은 5만 원이 평균적이었고 친하지 않고 참석하지 않으면 3만 원만 혹은 하지 않는다, 친한 사이면 10만 원 이상으로 인식되어 있었는데요. 워낙 요즘 물가가 상승하면서 결혼식장 식대도 상승했기 때문에 축의금은 얼마나 해야 할까 고민이 되실 겁니다. 그래서 사회문화적 분위기를 고려하여 적정 축의금 기준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요즘에는 축의금을 안 내고 안 받는다고요?? 축의금 기준 영상 보러가기

2023 축의금 기준은?

요즘은 물가, 식대가 올라가면서 결혼식장에서 먹는 밥값 가격도 상승했습니다. 그래서 결혼식에 방문하여 식사까지 한다면 그 금액을 고려하여 축의금을 해야겠죠. 식대가 1인 75,000원인 식장인데 5만 원 축의금만 하는 것도 조금 미안한 분위기입니다. 

 

그렇다면, 여러가지 사회 문화, 경제적 분위기를 살펴본 결과 그 기준표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재미로 보시고 본인이 잘 판단하여 금액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결혼식 참석할 경우 결혼식 참석 안할 경우
매우 친한 사이, 오래볼 사이이면? 15~20만원, 혹은 그 이상 15~20만원
친하지만 조금 멀어진 사이다.  10~15만원 10만원
가끔 만나는 친구, 지인이다. 10만원 5~10만원
그냥 지나가다 인사만 하는 동료다. 5만원 혹은 참석안해도 됨. 0~3만원
만남은 없으나 청첩장만 주고 받는다. 굳이 참석 안함. 참석X, 3만원

(위의 기준은 주관적인 견해이므로 개인이 잘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Wedding
결혼식 축의금 기준

 

만약 평소에 정말 연락을 안 하다가 결혼할 때 돼서 연락이 왔다면? 내 결혼식 때 축의금을 받았더라면 그 금액만큼만 보내면 됩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굳이 축의금을 보낼 필요도, 결혼식 참석할 필요도 없다고 봅니다. give and take(기브 앤 테이크) 죠.

 

요즘 비혼 인구도 늘고 있어서 비혼주의자들은 굳이 축의금을 내고싶지 않아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이런 축의금 기준을 찾아보는 분들도 많은데요. 정말 본인과 오래갈 사이라면 비혼주의자라도 축하하는 마음으로 진심을 담아 축의금을 전달하는 게 좋을 것 같네요.

 

반응형